경기도의 역사를 문화유산과
인물을 통해서 알아봅니다.

  • 명칭 : 김정희
  • 위치 : 과천시
  • 시기 : 조선시대

조선 말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이다. 24세 때 아버지가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갈 때 수행하여 연경에 체류하면서, 당시의 이름난 유학자와 접할 수가 있었다. 이 시기의 연경 학계는 고증학(중국 청나라 때, 고서 연구의 방법으로 일어난 학문)의 수준이 최고조에 이르렀었다. 따라서 그는 경학(유학의 경서인 사서오경을 연구하는 학문)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 귀국 후에는 금석학(문자가 새겨져 있는 종이나 비석, 금속 같은 문화 유물을 연구하는 학문)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금석 자료를 찾고 보호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고 그 결과 북한산순수비(北漢山巡狩碑)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후학(학문에 늦게 종사한 후진의 학자)을 지도하여 조선 금석학파를 성립시켰다. 또한 연경에 가서 저명한 학자들과 교류하며 많은 손수 쓴 글씨를 감상하면서 안목을 키웠다. 그리고 옹방강과 완원으로부터 금석문의 감식법(어떤 사물의 진위나 가치 따위를 알아내는 방법)과 서도사 및 글씨 쓰는 법에 대한 전반적인 가르침을 받고서 서도(글씨를 쓰는 올바른 도)에 대한 인식을 근본적으로 달리했다. 옹방강의 서체(글씨를 쓰는 일정한 격식이나 양식)를 따라 배우면서 여러 서체를 익혔다. 이들 모든 서체의 장점을 밑바탕으로 해서 보다 나은 독창적인 길을 창출한 것이 바로 졸박청고(拙樸淸高, 필체가 서투른듯하면서도 맑고 고아하다)한 추사체(秋史體)[조선 말기의 명필인 추사 김정희의 글씨체]이다. 추사체는 말년에 그가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완성되었다. 또한 김정희의 문학에서 시 아닌 산문으로서 한묵(翰墨. 문한과 필묵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거나 쓰는 것을 이르는 말)을 무시할 수 없다. 단순한 편지가 아니라 편지 형식을 빌린 문학으로서 수필(자신의 경험이나 느낌 따위를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기술한 산문 형식의 글)과 평론(예술 작품이나 문화 현상 따위에 대하여, 그 가치, 우열, 미추 따위를 논하여 평가함)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그의 손수 쓴 글씨 언간(諺簡, 언문 편지라는 뜻으로, 한글로 된 편지)이 40여 통에 이르는데 제주도 귀양살이 중에 부인과 며느리에게 쓴 것이다. 그의 문집은 네 차례에 걸쳐 출판되었는데 『완당척독(阮堂尺牘)』(2권 2책, 1867년)·『담연재시고(覃揅齋詩藁)』(7권 2책, 1867년)·『완당선생집』(5권 5책, 1868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