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포천의 사.단.정려 = 抱川의 祠.壇.旌閭

향토문화자료집 5집

先賢들이 남긴 얼과 자취를 기리고 保全하여 새로운 세대에게 繼承, 發展시켜 나가도록 하는 일은 아주 소중한 일이다. 또한 傳統과 現代의 接木에 있어 문화가 차지하는 比重이 큰 것을 생각할때 抱川의 祠·壇·旌閭 발간은 아주 뜻깊은 일이다.
  • 파일명 210024692_IT0023711_20220225_DU_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58.633MB
[표지]
抱川의 祠·壇·旌閭
차례
간행사
축간사
축간사
축간사
1. 사우(祠宇)
  1. 청성사(淸城祠) 17
  2. 채산사(茞山祠) 57
  3. 청해사(靑海祠) 105
  4. 동음사(洞陰祠) 139
  5. 길명사(吉明祠) 195
2. 단(壇)
  6. 충목단(忠穆壇) 235
  7. 요산단(堯山壇) 271
  8. 산앙단(山仰壇) 295
  9. 일치단(一治壇) 337
3. 영당(影堂)
  10. 운담영당(雲潭影堂) 361
4. 정려(旌閭)
  11. 오백주 정려(吳伯周旌閭) 387
  12. 신급 정려(申礏旌閭) 405
  13. 권종 충신문(權悰忠臣門) 415
附錄
  1. 우리나라 祠壇 제도의 개관 426
  2. 경기도내 祠宇·影堂·壇 일람표 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