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경기도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입직지원 모델 개발

'훈련형 사업공동체'를 중심으로 정책보고서 2012-04

경기도 내 36개 여성인력개발기관과 여성인력개발기관에서 직업준비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20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경기도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업준비 동아리 운영 실태와 참여자의 동아리 참여 결정요인, 정책 요구들을 분석하고,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최소한의 경험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공동체 사례 분석과 전문가 간담회 등을 바탕으로 경기도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입직지원 모델을 개발함
  • 파일명 210039557_IT0031600_20220225_DU_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3.740MB

발간사 (3)
Abstract (5)
연구요약 (7)
목차 (20)
제1장 서론 (26)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28)
2. 연구내용 (30)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가. 연구방법 (31)
나. 연구절차 (33)
제2장 이론적 검토 (36)
1. 선행연구 검토 (38)
가.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특성과 취업지원 요구 (38)
나.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이행과정 (40)
2. 여성 경제활동 현황과 재취업지원 정책 (42)
가. 여성 경제활동 현황 (42)
나.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정책 및 사업 (45)
다.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서비스와 향후 과제 (51)
3. '훈련형 사업공동체' 개념화 (53)
4. 소결 (56)
제3장 직업준비 동아리 조사 결과 분석 (58)
1. 조사개요 (60)
가. 조사목적 (60)
나.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