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환경경제통합계정 작성기반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6

환경경제통합계정은 정부정책의 경제성장 촉진정책이 오염물질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환경규제의 강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산업구조 및 소비패턴의 변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경제적․환경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며 국민경제 차원에서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각종 물적지표 및 화폐지표의 산출을 통해 사회발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에도 활용하기 위한 활용방안 연구서임
  • 파일명 210040192_IT0032235_20220225_DU_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5.198MB
< 차. 례. >
I. 서.론 ·1
1. 연구목적·1
2. 연구범위·2
II. 환경계정작성국제동향·4
1. UN의SEEA 개정논의·4
2. OECD의물질흐름분석관련동향·9
3. NAMEA-air 편제및활용사례·11
3.1 EU ·11
3.2 네덜란드·13
3.3 노르웨이·18
3.4 벨기에·20
3.5 기타국가·21
III. NAMEA-air 편제?갱신·23
1. 편제기준과범위·23
1.1 개요·23
1.2 NAMEA-air 표준계정표·24
1.3 편제범위와방법·27
2. 대기배출량자료의산업별배분방법·29
2.1 CAPSS 대기배출량·29
2.1.1 에너지산업연소·30
2.1.2 비산업연소·31
2.1.3 제조업연소·36
2.1.4 생산공정·39
2.1.5 에너지수송및저장·41
2.1.6 유기용제사용·42
2.1.7 도로이동오염원·47
2.1.8 비도로이동오염원·52
2.1.9 폐기물처리·54
2.1.10 농업·55
2.2 온실가스배출량·56
2.2.1 에너지·57
- ii -
2.2.2 산업공정·63
2.2.3 농업및폐기물·66
2.2.4 바이오매스및국제벙커링·66
3. NAMEA-air 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