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남부 중심도시로서 도시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공간구조(생활권) 개편 및 도시기능 재배치와 서수원권 장기발전방향 모색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및 생활권별 특성화 방안을 강구하고, 수원시의 주요 현황 및 문제 검토, 도시제반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효율적 도시정비를 유도 하는데에 본 계획의 목적이 있음
(2030년)수원 도시기본계획 (1)
제출문 (3)
목차 (4)
제1편 계획의 기조 (19)
제1장 계획의 개요 (20)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2)
2. 계획의 범위 및 내용 (23)
3. 계획의 수립방향 및 방법 (26)
제2장 수원시의 특성과 현황 (28)
1. 수원시 연혁 (30)
2. 수원시 일반현황 및 특성 (34)
3. 상위 및 관련계획 (56)
4. 수원시 여건변화 (69)
5. SWOT 분석 (70)
6. 기정 2020년 수원 도시기본계획 평가 (71)
제3장 시민의 손으로 만드는 수원 (74)
1. 시민의식조사 (76)
2. 시민계획단 (81)
3. 주민참여 방안 (98)
제2편 계획의 기본구상 (106)
제4장 계획의 목표 및 지표 설정 (108)
1. 수원시의 도시 성격 (110)
2. 도시미래상 및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