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고양 북한행궁지 2차 발굴조사보고서

학술조사보고 제163책

본 서는 기 시굴조사된 유구 중 외전영역을 구성하는 건물지의 위치와 규모, 축조방법, 특징 등을 파악하고, 문헌자료 및 타행궁의 사례를 비교 · 검토함으로써 이후 시행될 행궁지의 기본적인 정비방안을 수립하는데 기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던 외전영역의 발굴조사 결과보고서임
  • 파일명 210042003_IT0034046_20220225_DU_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24.341MB

목차
Ⅰ. 머리말 9
Ⅱ. 유적의 입지와 환경 14
  1. 자연지리적 환경 14
  2. 고고학적 환경 15
  3. 역사적 배경 18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6
Ⅳ. 조사내용 30
  1. 유구 30
   1) 외전지(外殿址) 및 어도(御道) 30
   2) 외-대문지(大門址) 47
   3) 외-좌행각지(左行閣址) 48
   4) 외-우행각지(右行閣址) 49
   5) 외-축대 53
   6) 외-내곽담장지 56
   7) 외-배수로 57
   8) 외-화계 58
  2. 유물 59
   1) 외전지 및 어도 출토유물 59
   2) 외-좌행각지 출토유물 97
   3) 외-우행각지 출토유물 98
   4) 외-축대 출토유물 113
   5) 외-내곽 담장지 출토유물 122
   6) 외-배수로 출토유물 127
   7) 외-화계 출토유물 127
Ⅴ. 맺음말 138
출토유물 목록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