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의 천하도와 중국, 일본, 유구, 조선의 지도로 이루어진 필사본 여지도첩에 수록되어 있다. 함경도의 후주부가 설치된 것으로 보아 19세기 중엽을 전후하여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산지는 전통적인 연맥 방식이 아닌 독립된 산으로 표현하였다. 서울인 경도는 도성의 표시와 함께 크게 강조되어 그려졌다. 북악과 삼각산은 위치가 다소 잘못 표현되었다. 고을 이름의 옆에는 좌.우도의 구분, 서울로부터의 일정, 부.목.군.현에 해당하는 고을의 위계가 표기되어 있다. 교통로도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각 군현간의 거리도 주기되어 있다. 해안의 진보, 내륙의 역원 등은 직사각형의 기호 내부에 기재되어 있다
- 파일명 210045517_IT0037560_20220220_DU_1.jpg
- 파일 형식 jpg
- 파일 크기 0.090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