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경기, 천년의 문화사_고려후기~조선전기

경기그레이트북스 02

경기문화의 시작은 천년 전 고려시대부터 시작합니다. 고려의 도읍이 개성에 위치했음은 이후 한반도의 중부 문화가 현재 대한민국 문화의 원형으로 자리하게 하였고, 그것은 왕도(王都)를 포함한 경기문화로 형성되었습니다. 경기문화는 고려문화, 조선문화 자체였습니다. 경기문화의 정체성은 거기에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과 중부일보는 천년 경기문화의 전반적인 모습을 독자들과 소통하기 위한 작업을 공동기획하였습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다양한 문화칼럼이 중부일보의 ‘경기천년’ 기획을 통해 120회에 걸쳐 소개되었고, 그 결과가 바로 “경기, 천년의 문화사”입니다.
고려 전기, 고려 후기~조선 전기, 조선 후기~현대의 대표적인 경기문화의 양상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 파일명 210053054_IT0045094_20220225_DU_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89.980MB
발간사 _ 4
책머리에 _ 6
프롤로그 _ 10
1부 고려 후기 경기문화의 동향
01 몽골 침입과 경기인京畿人의 항전 _ 20
02 고려 말 천도론과 한양·개경으로 반복된 이도·환도_29
03 고려와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 성균관成均館 _ 37
04 고려 말 조선 초 경기 불교 미술의 동향/석조문화재를중심으로 _ 46
05 공민왕릉/조선 왕릉의 체제를 구축하다 _ 54
06 포은 정몽주의 넋이 깃든 곳/숭양서원과 선죽교 _ 64
07 경기인들이 사용한 청자/고려 후기 청자의 생산과 유통 _ 71
2부 시대의 전환기를 이끈 경기인
01 고려 말 조선 초 전환기의 경기인들 _ 78
02 광주 이씨, 이집李集 _ 87
03 죽산 박씨, 박전지朴全之 _ 95
04 한양 조씨, 조광조趙光祖 _ 105
05 용인 이씨, 이중인李中仁 _ 112
06 교하 노씨, 노사신盧思愼 _ 120
07 글로벌 다문화 경기인, 이제현李齊賢 _ 128
08 글로벌 다문화 경

연관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