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경기도 지역의 ‘산업발달 근거지’와 ‘산업유산’을 조사하여 경기도 산업발달의 공간적・시간적 변화를 고찰하고, 한국경제발전의 주역으로서 경기도의 현대사적 위치를 재조명한다.
경기도 지역에 산재한 ‘산업유산’을 파악하여 이를 지역사회의 문화유산화한다. 이후 체계화된 보존, 관리 및 다양한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한다.
경기도 산업체 발굴・조사의 성과를 경기도 산업발달사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축적하는 동시에 경기도의 현대문화에 대한 콘텐츠 확충에 기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산업의 발달과 ‘지역’ 및 ‘사회’의 관련성을 고찰함으로써 경기학의 영역 확대를 도모한다.
경기도 현대 산업근거지 조사보고서
목 차
제1장 과업의 개요 _ 1
I. 과업의 배경 _ 3
II. 과업의 목적 _ 4
III. 과업의 범위 _ 5
1. 공간적 범위 _ 5
2. 시간적 범위 _ 5
3. 내용적 범위 _ 5
IV. 과업의 조직체계 _ 6
V. 과업수행방법 및 추진과정 _ 7
1. 과업의 수행과정 및 방법 _ 7
2. 단계별 추진 일정 _ 9
VI. 산업별 분류 및 조사 항목 _ 10
1. 산업별 분류 및 업무 분장 _ 10
2. 조사 및 기술 항목 _ 11
제2장 조사 성과 _ 13
I. 경기도 주요 산업체 선정 및 목록화 _ 15
1. 산업별 주요 산업체 선정 결과 _ 15
2. 주요 산업체 목록 _ 15
II. 현존 산업유산 조사 _ 21
1. 현장 조사 수행 내역 _ 21
2. 현장 조사 결과 _ 21
3. 현존 산업유산 현황 _ 22
III. 조사결과 활용방안 및 과제 _ 28
1. 활용방안 _ 28
2. 과제 _ 29
제3장 경기산업사 개요 _ 31
I. 현대 한국산업 발전 개관 _ 33
1.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