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고산촌(수석동)에서 지은 중요한 작품들만 모아 해설하여 이해를 돕고자 기획되었으며 고산이란 지명의 유래 및 호의 사용, 고산촌에서의 연보, 고산촌 관련 작품에 대한 작품번역 및 해설, 시무8조소(상소문) 및 고산촌 자료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있음
- 파일명 210054433_IT0046473_20220225_DU_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42.896MB
목차
머리글 / 임병규(남양주향토문화연구소소장) 5
1. 윤선도(尹善道)누구인가 7
2. 윤고산에 대한 인물초상(人物肖像) 11
3. 고산(孤山)이란 지명의 유래 13
1) 중국의 고산과 최고산(崔孤山) 13
2) 서울시에서 발행한 「한강산」 13
3) 호음 정사룡 14
4. 孤山이란 號의 사용 16
1) 윤고산과 고산촌(수석동) 16
2) 고산(호)을 사용한 순서 17
5. 고산(수석동)에서 만난 사람 (서신포함) 19
6. 고산촌(수석동)에서의 연보 20
7. 작품번역 및 해설 28
1) 곡수대3수(曲水臺三首) 28
2) 병환고산강상감흥(病患孤山舡上感興) 29
3) 해민료우음(解閔寮偶吟) 29
4) 고산독불항(孤山獨不降) 30
5) 신미삼월(辛未三月) 30
6) 차운겸보숙장영회(次韻謙甫叔丈詠懷) 31
7) 몽천요 3장(夢天謠 三章) 31
8. 시무8조소〈時務八條疎〉 33
9. 고산촌자료 43
10. 윤선도의 별서(別墅)가 있던 고산의 위치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