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율면의 농촌마을 고당리의 어제와 오늘 2
류달영의 <농촌조사연구>(1936)를 중심으로 경기마을기록사업 시리즈 25
이천 율면의 농촌 마을 고당리의 어제와 오늘 -류달영의 <농촌조사연구>(1936)를 중심으로-
목자
Ⅰ. 『농촌조사연구』의 성격과 자료적 가치
1. 머리말
2. 농촌에 대한 류달영의 계몽적 관심과 『농촌조사연구』의 성격
3. 『농촌조사연구』의 주요 내용
4. 마무리
Ⅱ. 이천 율면과 고당리 지명의 분석적 검토
1. 머리말
2. 율면 연력과 '고당리'의 지명
3. 지명 관련 유래담
4. 마무리
Ⅲ. 전래놀이에 대한 관심과 현지조사 자료의 비교연구
1. 『농촌조사연구』에 수록된 놀이의 종류와 성격
2. ‘농민오락’적 관점에서의 놀이
3. 현지 조사와 놀이의 종류
4. 마무리
Ⅳ. 민간의료에 대한 관심과 현지조사 자료의 비교 연구
1. 머리말
2. 『농촌조사연구』의 민간의료
3. 현지 조사로 본 민간의료
4. 새로 발굴한 자료, 『각종비방(各種秘方)』의 내용
5. 마무리
Ⅴ. 경제적 생활과 현지 조사 자료의 비교 연구
1. 머리말
2. 농업 운영 방식의 비교
3. 경적 작물과 재배 방식의 비교
4. 교통과 시자으이 비교
5. 마무리
Ⅵ. 고당리 사회공동체 문화의 변천
1. 머리말
2. 1936년 고당리 사회공동체
3. 1970년대 고당리의 새로운 사회공동체 등장
4. 2021년 고당리의 사회공동체
5. 마무리 : 고당리 사회공동체의 문화적 의미
Ⅶ. 고당리 자연환경의 현장론적 비교 연구
1. 머리말
2. 과거와 현재의 자연환경
3. 생물군 중 동물류에 대한 조사 및 비교
4. 생물군 중 식물류에 대한 조사 및 비교
5. 자연환경과 작물 및 인간 생활과의 관계
6. 마무리
Ⅷ. 고당리 마을 자원의 활용 방안
1. 머리말
2. 활용 가능한 고당리의 대표자원 분석
3. 고당리의 콘텐츠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브랜딩(Branding)’
4. 농촌개발사업의 현황과 적용 가능성 검토
5. 마무리
부록 : 류당영의 『농촌조사연구』
참고문헌
판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