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타버스와 함께 가는 문화예술교육 연구

본 보고서는 메타버스와 함께 가는 문화예술교육 연구 자료로, 국내외 메타버스 예술 및 교육과 관련된 전문가 인터뷰, 컨설팅 등을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전문적 분석 및 근거와 의제를 제시한 보고서이다.
  • 파일명 210055836_IT0046893_20221208_DU_00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5.639MB

메타버스와 함께 가는 문화예술교육 연구 1
 목차 4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2
   1. 연구배경 12
   2. 연구목적 14
  제2절 연구범위 및 체계 15
   1. 연구범위 15
   2. 연구체계 18
 제2장 메타버스의 실재와 특성 20
  제1절 메타버스의 정의와 실재 22
   1. 메타버스 개념과 발전 배경 22
   2. 기술·경제적 측면에서 바라본 메타버스 31
   3. 국내외 메타버스 정책 39
  제2절 메타버스 생태계 구성요소 51
   1.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 메타버스 플랫폼 51
   2. 무한한 길을 여는 : 메타버스 하드웨어 60
   3. 자발적 소비와 생산의 주체 : 메타휴먼(Meta Human) 67
 제3장 예술·교육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사례 73
  제1절 메타버스와 예술의 만남 75
   1. 메타버스 예술관련 콘텐츠 산업 및 정책동향 75
   2. 문화예술분야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사례 97
   3. 메타버스 문화예술 창작사례 108
  제2절 메타버스와 교육의 만남 116
   1. 메타버스 교육관련 콘텐츠 산업 및 정책동향 116
   2. 메타버스 현장교육 활용사례 131
   3. 메타버스 학교교육 활용사례 135
 제4장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현재와 미래 146
  제1절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현재 148
   1. 문화예술교육의 변화 :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메타버스로 150
   2.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57
   3.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방식 162
  제2절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미래 165
   1.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166
   2. 생태계로서의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 구성요소 176
   3.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장애 요인 196
 제5장 결론 및 제언 203
  제1절 연구의 결론 205
  제2절 메타버스 허브, 경기도 메타버스 문화예술교육 기초정책 제언 212
 참고문헌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