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재개발기본계획변경(안)
2002. 2.
부천시 재개발기본계획변경(안)(2002.2.) 1
목차 3
표목차 11
그림목차 17
I. 계획의 개요 20
(1) 계획의 성격 및 목적 21
1. 계획의 성격 21
2. 계획수립의 목적 21
(2) 계획의 범위 22
1. 시간적 범위 22
2. 공간적 범위 22
3. 내용적 범위 22
(3) 재개발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시행절차 23
1. 재개발기본계획 수립절차 23
2. 사업시행절차 23
3. 과업수행절차 23
II. 계획수립 여건분석 25
(1) 도시현황 27
1. 입지여건 27
2. 자연환경 28
3. 인문·사회환경 30
(2) 상위 및 관련계획 검토 50
1.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92년) 50
2. 경기도 발전계획(경기 2020 : 비전과 전략, 21세기 경기발전구상, 1997) 50
3. 부천시 도시기본계획(1994. 11) 53
4. 부천시 교통정비기본계획(1995) 58
5. 주요 관련계획 종합 60
(3) 관련법규 검토 61
(4) 문제점 및 잠재력 분석 68
1. 문제점 68
2. 잠재력 68
III. 부천시 재개발의 전략 설정 69
(1) 부천시 도시정비 방향 71
1. 도시위상에 따른 부천시 발전목표 71
2. 부천시 도시정비방향 71
3. 도시정비방식의 유형 72
(2) 부천시 재개발 전략 72
(3) 재개발 검토대상지 선정 73
1. 재개발 검토대상지 선정의 전제 73
2. 재개발 검토대상 범위 73
3. 과제별 재개발 검토대상의 내용 74
4. 부천시 도시공간구조분석을 통한 도시정비방향 설정 75
5. 재개발 검토대상지 선정 76
IV. 제개발 대상구역 선정 79
(1) 재개발 대상구역 선정과정 81
(2) 기준설정 및 평가방법 81
1. 기준설정 과정 및 방법 81
2. 법상기준의 검토 83
3. 기준설정 85
4. 평가방법 87
(3) 재개발 후보지 선정 94
1. 기초조사 94
2. 기초조사 결과분석 및 재개발 후보지 선정 101
(4) 재개발 대상구역 선정 104
1. 정밀조사 104
2. 정밀조사 내용 종합 159
3. 도시개발사업 유형분석 163
4. 재개발 대상구역 선정 168
V. 계획의 기본구상 171
(1) 주민의식조사 173
1. 설문조사 개요 173
2. 주요내용 구성 173
3. 거주자 설문분석 174
4. 영업자 설문분석 179
5. 설문 종합분석 182
(2) 재개발사업 유형 구분 183
1. 재개발사업 유형 구분 기준설정 183
2. 재개발사업 유형 구분 184
(3) 재개발사업 방식 구분 184
1. 재개발사업 방식 구분 기준설정 185
2. 재개발사업 방식 구분 187
(4) 계획의 기본구상 189
1. 인구지표 설정 189
2. 토지이용계획 192
3. 교통계획 195
4. 공공시설 및 공공건축물 계획 198
5. 공급처리시설계획 200
6. 대지규모에 관한 계획 202
7. 건폐율·용적율 계획 203
8. 용적률 적용 사례조사(주택재개발(재건축)) 204
VI. 구역별 기본계획 205
(1) 도심재개발구역 207
1. 소사상세계획1구역 207
2. 소사상세계획2구역 212
3. 소사상세계획3구역 217
(2) 주택재개발구역 222
1. 약대동1구역 222
2. 약대동2구역 226
3. 심곡본동구역 230
4. 계수·범박동구역 235
(3) 사업우선순위 및 단계별투자계획 240
1. 사업우선순위 설정 240
2. 단계별투자계획 244
VII. 건의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