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원미 재정비촉진계획 변경(타당성 및 관리방안) 용역
2014년 9월
부천원미 재정비촉진계획 변경(타당성 및 관리방안) 용역 1
목차 4
제I편 과업의 개요 7
1. 과업의 개요 8
가. 과업명 8
나. 과업의 범위 8
2. 추진배경 및 방향 9
가. 추진배경 9
나. 추진방향 9
3. 추진경위 10
제II편 일반현황 12
1. 부천시 일반현황 13
가. 자연현황 13
나. 인문현황 15
2. 상위 및 관련계획 20
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20
나.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2006~2020) 22
다. 2020년 수도권 광역도시계획(2002~2020) 24
라. 부천시 장기발전계획 Vision 2023 26
마. 2030 부천 도시기본계획(안) 29
바. 2020 부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2011.11) 32
제III편 원미 재정비촉진지구 해제 33
1. 재정비촉진지구 현황 34
2. 재정비촉진지구 해제 당위성 검토 40
3. 재정비촉진지구 해제 45
제IV편 원도심 활성화 기법 검토 76
1. 무분별한 개발방지 대책 77
가. 주민 주도형 건축협정제도 도입 77
나. 건축가이드라인 마련(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82
2. 규제완화, 도시공간 효율화, 합리적 도시계획 수립 87
가. 체계적인 도시관리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 87
나. 입지규제 최소지구 지정 96
3. 주민 의사에 따른 소규모 블록단위 대안사업 98
가. 주거환경관리사업 98
나. 가로주택정비사업 103
4. 도시재생사업 도입 106
가. 도시재생사업 개념 106
나. 정부부처 동향 108
다. 도시재생 선도지역 선정 109
라. 도시재생사업 준비 115
마. 도시재생사업 내용 117
제V편 국내외 도시재생사례 123
1. 국내 Test Bed 사례 124
가. Test Bed(지역자력형) 사업개요 124
나. 전주 Test Bed 126
다. 창원 Test Bed 132
2. 해외 도시재생 사례 139
가. 영국의 도시재생 - 캐슬베일 139
나. 홍콩의 도시재생 - Langham Place, Mong Kok District 148
다. 일본의 도시재생 - 카시와역 인근 재생계획 153
제VI편 원도심 활성화 방안(원미지구 중심) 156
1. 활성화 방안 개요 157
2. 해제지역 기반시설 및 편의시설 정비 158
3. 무분별한 개방방지 대책 적용 159
가. 대지안의 공지기준을 강화하여 보행환경 개선 159
나. 주민 주도형 건축협정제도 도입 162
다. 건축가이드라인 마련(정비) 163
4. 합리적 도시계획 수립 170
가. 도시관리계획 및 조례 재검토 170
나. 체계적인 도시관리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 172
다. 입지규제 최소지구 지정 176
5. 소규모 블록단위 대안사업 추진 177
가. 주거환경관리사업(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177
나. 가로주택 정비사업 179
다. 주택재건축사업 180
6. 도시재생사업 적용 181
가. 부천시 실태 181
나. 도시재생사업 준비 182
다. 도시재생대학 운영 185
라. 도시재생전략계획 및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187
마. 원미지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기본구상(안) 189
제VII편 결론 198
1. 향후 추진계획 199
2. 종합의견 201
3. 부천시 도시재생 추진방향 제언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