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독립운동사
부천 독립운동사 1
발간사 : 책을 펴내면서 / 한화교(경기도 부천시 광복회장) 12
축사 : 독립운동사 발간에 즈음하여 / 원혜영(부천시장) 14
격려사 : 유비무환의 정신으로 / 황갑수(광복회 경기도 지부장) 15
격려사 : 독립운동사의 출간은 오늘의 독립운동 / 남만우(광복회 경기도 연합회장) 16
목차 17
I. 한·일합병과 독립운동 21
1. 한·일합병과 수난의 역사 21
2. 독립운동의 진전과 3·1운동 26
II. 부천의 독립만세 운동 33
1. 지역별 만세운동 34
1) 계양면(桂陽面)의 만세운동 34
2) 문학면(文鶴面)의 만세운동 36
3) 계남면(桂南面)의 만세운동 36
4) 남동면(南洞面)의 만세운동 37
5) 용유면(龍遊面)의 만세운동 38
6) 대부면(大埠面)의 만세운동 39
7) 덕적면(德積面)의 만세운동 39
2. 부천의 독립운동가 41
1) 심혁성(沈爀誠) 41
2) 남광원(南光元) 43
3) 송성용(宋聖用) 43
4) 임성춘(林聖春) 44
5) 이담(李潭) 45
6) 이난의(李蘭儀) 47
7) 조명원(趙明元) 조종서(趙鍾瑞) 최봉학(崔奉學) 문무현(文武鉉) 48
8) 임용우(林容雨) 이재관(李載寬) 차경창(車敬昌) 49
9) 전원순(全元順) 최성옥(崔成玉) 50
10) 이원근(李元根) 51
11) 김윤규(金允圭) 노병상(盧秉相) 홍원표(洪元杓) 52
12) 김용산(金用山) 53
13) 이길용(李吉用) 54
14) 좌등용(佐藤勇) 55
III. 광복후 부천거주 독립운동가 57
1. 직접 거주 독립운동가 57
1) 김두석(金斗石) 57
2) 김운봉(金雲鳳) 58
3) 송병하(宋炳河) 61
4) 유일한(柳一韓) 66
5) 이윤철(李允哲) 72
6) 한흥리(韓興履) 73
2. 유족 거주 독립운동가 80
1) 고병은(高秉殷) 80
2) 고재천(高在千) 81
3) 김규철(金奎喆) 83
4) 김성환(金聖煥) 85
5) 김수담(金壽聃) 87
6) 김응선(金應善) 88
7) 김찬두(金讚斗) 89
8) 남윤구(南潤九) 93
9) 문종우(文鍾禹) 94
10) 민영환(閔泳煥) 95
11) 박도경(朴道京) 99
12) 박동완(朴東完) 103
13) 박봉삼(朴奉杉) 107
14) 박석진(朴錫震) 109
15) 박성준(朴成俊) 109
16) 박응천(朴應天) 111
17) 박재수(朴在秀) 111
18) 박주양(朴朱陽) 113
19) 성달영(成達永) 115
20) 송복덕(宋福德) 116
21) 신재원(申在元) 118
22) 안기영(安基榮) 119
23) 안병준(安炳俊) 123
24) 안승우(安承禹) 124
25) 안시봉(安時鳳) 127
26) 양한위(梁漢緯) 129
27) 오일규(吳日圭) 130
28) 유명호(柳命鎬) 132
29) 유준석(柳俊石) 133
30) 유희철(劉熙哲) 134
31) 윤윤용(尹允用) 137
32) 이국상(李國相) 139
33) 이규순(李奎淳) 140
34) 이규승(李奎承) 146
35) 이면호(李冕鎬) 147
36) 이병도(李丙燾) 148
37) 이용제(李鏞齊) 151
38) 이윤명(李潤明) 152
39) 이재인(李載仁) 153
40) 이찬영(李燦英) 156
41) 장기문(張基文) 157
42) 장병준(張柄俊) 158
43) 장채극(張彩極) 160
44) 장화윤(章華潤) 164
45) 전팔용(全八龍) 166
46) 정상득(鄭尙得) 167
47) 정인섭(丁寅燮) 168
48) 최두영(崔斗榮) 169
49) 최순택(崔淳鐸) 170
50) 최인식(崔寅植) 172
51) 최준모(崔俊模) 174
52) 최진동(崔鎭棟) 176
53) 최효대(崔孝大) 177
54) 한영규(韓榮圭) 178
55) 홍동옥(洪東玉) 179
56) 황찬숙(黃贊淑) 180
IV. 독립관련 문헌 182
1. 선언서와 기타문헌 182
1) 활빈당 선언(1900년) 182
2) 한·일 의정서(1904년) 183
3) 러·일 강화조약(포츠머스 조약 중요내용 1905년 8월) 184
4) 을사조약(1905년 11월) 185
5) 간신의 목을 베자(홍암 나철(羅喆) 인영(寅永) - 1907년 3월 21일) 186
6) 고종황제 칙서(1907년 7월 11일) 188
7) 광무 신문지법(법률 제1호 - 1907년 7월 24일) 189
8) 보안법(법률 제2호 - 1907년 7월 27일) 189
9) 이토의 죄악을 성토한다(1909년 10월 26일 - 안중근) 190
10) 한·일 합병조약(1910년 8월 22일) 191
11) 조선 태형령(훈령 제40호 - 주요내용 - 1912년 12월 30일) 193
12) 토지 조사령(주요 조항 - 1912년 8월 13일) 194
13)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 戊午年 1918년 11월) 195
14) 선언문(2. 8 宣言文 - 東京留學生宣言文 1919년 2월 8일) 199
15) 대한독립 여자선언서(大韓獨立 女子宣言書 - 1919년 2월) 203
16) 미국 윌슨대통령에게 보낸 구진서(具陳書 - 1919년 2월) 205
17) 통고문(일본에 보낸 通告文 - 1919년 2월 27일) 208
18) 宣言書(原文 - 3. 1독립운동 1919년3월1일 탑골공원) 209
19) 기미독립선언서(한문을 한글로 - 1919년 3월 1일) 211
20) 기미독립선언서(현대문 - 1919년3월1일) 214
21) 독립선언 포고문(獨立宣言布告文 - 간도거류민 1919년 3월) 217
22) 독립선언서(大阪 韓國勞動者 宣言書 1919년 3월 19일) 219
23) 선언서(琿春 大韓國民會 宣言書 1919년 3월 20일) 220
24) 조선독립선언서(朝鮮獨立宣言書 - 滿洲모아산宣言書 1919년 3월 25일) 223
25) 조선독립선언서(朝鮮獨立宣言書 - 咸北 天道敎人 1919년 3월) 223
26)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장선포문(상해 - 1919년 4월 17일) 225
27) 조선독립의 서(卍海 韓龍雲 監獄宣言書 1919년 7월 10일) 226
28) 선언서(大韓民族代表 宣言書 1919년 10월 31일) 236
29)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 1919년 11월 15일) 238
30) 선언서(大韓民族代表 宣言書 1919년 11월) 239
31) 청산리 전투 군가(1920년) 241
32)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1921년) 242
33) 선언(宣言 - 中國 韓國靑年獨立團 1921년 11월 5일) 243
34) 自主獨立宣言文(自主獨立宣言文 - 天道敎 普成社 1922년 3월 1일) 244
35) 조선혁명선언(義烈團 宣言書 - 申采浩 作成 1923년 1월) 246
36)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탄핵서(1925년 3월 11일) 254
37) 사상범 보호관찰령(1936년 12월 12일) 255
38) 보천보 전투 포고문(1937년 6월) 255
39) 국가 총동원법(주요 조항 - 1938년 4월 1일) 256
40) 여자 정신대 근무령(1944년 8월 23일) 257
41) 대한민국 제헌헌법 전문(制憲憲法 前文 1948년) 258
2. 독립군가 260
1) 독립지사의 노래 260
2) 독립군가 261
3) 광복군 행진곡 262
4) 광복군 제2지대가 263
5) 광복군 제3지대가 264
6) 최후의 결전 265
7) 고난의 노래 266
8) 용진가 267
9) 압록강 행진곡 268
10) 광복군 항일 전투가 269
11) 독립군가 270
3. 추도가 271
1) 순국선열 추도가 271
2) 백범 김구 추도가 272
4. 안중근(安重根) 의사(義士) 판소리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