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일: 1898
사망일: 미상
행위분야: 관리
인물경력
- 인천공립상업학교 졸업.
- 1929년 11월 인천에서 (합자회사) 김태훈정미소를 설립하여 해방 때까지 경영.
- 1940년 5월 경인상사(京仁商事) 주식회사 취체역과 재단법인 인천송현심상소학교(仁川松峴尋常小學校) 이사를, 6월 인천부유도회(仁川府儒道會) 부회장을, 7월 인천부세진흥회 이사를, 같은 달부터 1944년 5월까지 경인기업(京仁企業) 주식회사 취체역을, 같은 해 8월부터 1941년 2월까지 경인상사주식회사 대표취체역 지냄.
- 1942년 10월 인천부대가조합(仁川府貸家組合) 이사를 지냄.
- 1944년 1월 인곡토지건물(仁榖土地建物) 주식회사 취체역, 6월 주식회사 조선특종선용품제작소(朝鮮特種船用品製作所) 취체역, 9월 경기도상공경제회 설립위원을 지냄.
친일행적
- 1935년 5월 인천부 부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된 이후 1939년 5월과 1943년 5월 두 차례 연임. 같은 해 9월 인천상공회의소 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같은 달 인천상공회의소 공업부 부부장에 선임.
- 1936년 2월 인천조선인교육진흥기성회 실행위원에, 6월 인천의용소방조 제3부 부조두(副組頭)에, 7월 인천부세진흥회(仁川府勢振興會) 이사에, 10월 인천이출백미공동판매조합(仁川移出白米共同販賣組合) 부이사장에, 11월 환인곡물협회(丸仁穀物協會) 평의원에 선출.
- 1937년 2월 인천부 제4구(화평정•화수정) 방면위원(方面委員)에 선출되었으며, 3월 인천부 송현정청년단을 조직했고, 6월 인천부미곡상통제조합 평의원에 선출. 같은 달 인천부회의원들로 구성된 만주국시찰단 일원으로 다롄(大連)•펑톈(奉天)•신징(新京)•하얼빈(哈爾賓) 등지를 시찰, 8월에는 인천방호단 북분단(北分團) 단장에 선출.
- 1938년 6월 일본정부에 의해 조선에서의 지원병제 실시가 발표되고 인천에서 제1회 지원병입소시험이 실시되어 합격자가 나오자 합격자들에게 매월 금일봉을 전달할 것을 인천경찰서장을 통해 발표. 같은 해 7월 국민정신총동원 인천연맹 이사와 인천 부세진흥회 간사에 선출, 9월에는 인천상공회의소 의원 및 부회두에 재선, 같은 달 경서철도부설기성회(京西鐵道敷設期成會) 상담역 겸 실행위원에 선출.
- 1939년 2월 인천부 육군병지원자후원회 회장에, 같은 해 조선경방협회 경기도연합지부 평의원(인천)•학도병인천익찬회 부회장 등을 지냄.
- 1940년 12월 국민총력 인천연맹 산하 화평정(花平町) 제2연맹 결성준비위원을, 같은 달 국민총력 인천연맹 산하 화평정 제2연맹 참여(參與), 1941년 1월에는 화수정(花水町) 제1연맹 참여에 선출.
- 1941년 2월 국민총력 인천부연맹 이사에, 7월 인천부청년단 참여에 선출되었으며, 9월 인천상공회의소 의원과 부회두에 재선. 같은 해 8월 흥아보국단설립준비위원회 경기도위원을 맡았고, 9월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경기)으로 참여.
- 1943년 6월 인천부세진흥회 부회장에 선출되었으며, 9월 경성사법보호위원회 인천지부 상무위원(촉탁소년보호사)으로서 사법보호사업에 헌신한 공로로 조선사법보호협회로부터 표창을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