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팔달산이 품은 수원의 이야기

수원의 팔달산에 대한 역사적 유산과 현대의 주변 지리 활용이 담겨있음
  • 파일명 210061998_IT0050994_20241030_DU_001.pdf
  • 파일 형식 pdf
  • 파일 크기 130.108MB

목차 5
수원의 주산(主山), 팔달산을 새삼 그리는 뜻은 / 김준기(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장) 9
어, 돌을 고였네? 그럼 고인돌이잖아! / 김우영(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 23
수원화성 성신사 복원에 대한 회고 / 김관수(여유당건축사사무소(주) 대표) 37
이야기를 담은 팔달산 '조형물'과 '기념비' / 이석기(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 67
서장대에서 능선을 따라 화양루 / 최형국(수원시립공연단 무예24기 전수교육 담당) 89
수원의 첫 고등공민학교, 수원광명고등학교 / 박철하(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 103
팔달산은 도서관을 품기에도 최적지였다 / 최선옥(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 125
팔달산이 품었던 경기도청 / 정승렬(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 143
팔달산 약수터를 둘러보며 / 김덕묵(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 157
정조의 꿈을 이루게 만든 팔달산 부석소 이야기 / 김현수(수원지역문화연구소 연구위원)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