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태봉 태실 = 胎峰 胎室
경기도 태봉태실 조사보고서
목차 3
I. 머리말 5
01. 사업경과 8
02.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8
II. 태실 개관 13
01. 태실의 기원과 전개 15
02. 태실의 입지와 구조 51
03. 태실 유물의 양식과 편년 73
III. 지역별 조사내용 135
1. 가평군 138
1) 가평군 상색리 중종(中宗) 태실 139
2) 가평군 태봉리 영창대군(永昌大君) 태실 144
2. 고양시 148
1) 고양시 벽제동 태봉산 149
2) 고양시 대자동 정소공주 태실 150
3) 고양시 신도동 고종 제4남 태실 152
4) 고양시 지축동 성종왕녀 태실 153
3. 광주시 156
1) 광주시 원당리 성종왕녀 태실 157
2) 광주시 원당리 왕자 돈수(敦壽) 태실 162
3) 광주시 탄벌동 태봉 164
4) 광주시 태전동 성종 태실 165
5) 광주시 목현동 태봉(추정) 171
4. 김포시 174
1) 김포시 고막리 신성군 태실 175
2) 김포시 고양리 태실 179
3) 김포시 조강리 인순공주 태실 181
5. 남양주시 186
1) 남양주시 광전리 왕자 금수 태실 187
2) 남양주시 금곡동 태봉 189
3) 남양주시 내각리 배나무골 태봉 190
4) 남양주시 내각리 왕자 수장 태봉 193
6. 동두천시 196
1) 동두천시 안흥동 독도골 태봉 197
7. 성남시 200
1) 성남시 대장동 태봉 201
2) 성남시 율동 태봉 202
8. 시흥시 204
1) 시흥시 군자동 태봉 205
2) 시흥시 금이동 태봉 207
3) 시흥시 무지동 태실 208
9. 안산시 210
1) 안산시 고잔동 태실 211
10. 안성시 216
1) 안성시 배태리 태실 217
2) 안성시 성은리 영조 옹주 태실 220
3) 안성시 화봉리 태봉 222
11. 양주시 224
1) 양주시 고읍동 태봉 225
2) 양주시 덕정동 태봉 226
3) 양주시 봉암리 태봉 227
4) 양주시 상수리 태봉 229
5) 양주시 울대리 태봉 231
6) 양주시 황방리 정혜옹주 태실 232
12. 양평군 236
1) 양평군 대흥리 왕자 부수(富壽) 태실 237
2) 양평군 수입리 태봉 242
3) 양평군 옥천리 제안대군 태실 243
13. 여주시 246
1) 여주시 태평리 대명산 태봉 247
2) 여주시 외평리 태봉 248
14. 연천군 250
1) 연천군 노동리 태봉 251
2) 연천군 도신리 태봉 253
3) 연천군 동막리 부물현 혜정옹주 태실 255
4) 연천군 동막리 샘골 태실 258
5) 연천군 두일리 태봉 260
6) 연천군 양원리 태봉 261
7) 연천군 옥계리 태봉 262
8) 연천군 유촌리 화덕옹주 태실 264
9) 연천군 적거리 태봉 268
15. 용인시 270
1) 용인시 신봉동 태봉 271
2) 용인시 주북리 태봉 272
16. 이천시 274
1) 이천시 제요리 종태봉 275
17. 파주시 278
1) 파주시 객현리 태봉 279
2) 파주시 어유지리 영산군 태실 280
3) 파주시 용산리 태봉 283
4) 파주시 정자리 태실 285
5) 파주시 축현리 태실 288
18. 포천시 292
1) 포천시 가채리 태봉 293
2) 포천시 금주리 태봉 294
3) 포천시 만세교리 화완옹주 태실 295
4) 포천시 무봉리 영조옹주 태실 297
5) 포천시 성동리 익종 태실 300
6) 포천시 송우리 태실 307
7) 포천시 주원리 군자동 태실 309
19. 화성시 312
1) 화성시 송동(산척리) 선조 왕녀 태실 313
2) 화성시 자안리 태봉 315
IV. 경기도 태봉 태실 조사 결과 317
1. 태봉 태실 현황 319
2. 경기도 태실 유물 322
3. 태봉 태실의 훼손 331
4. 보존관리 334
V. 맺음말 337
참고문헌 341
부록 343
1. 성종대왕 태실비석개수의궤(成宗大王胎室碑石改竪儀軌) 344
2. 원자아기씨장태의궤(元子阿只氏藏胎儀軌), 익종(효명세자) 358
3. 익종대왕 태실가봉석난간조배의궤(翼宗大王胎室加封石欄干造排儀軌) 370
4. 경기도 태실 관련 문헌자료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