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추곡선생으로 불렸던 정제두 선생의 학문인 하곡학을 시흥에서 어떻게 해야하는가?라는 주제로 발표·토론한 자료들을 모아 정리한 것으로 1부 발표 및 내용, 2부 정제두의 하곡학 시흥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3부 추곡 시민 논단, 4부 하곡학의 어제와 오늘, 종합토론에 대한 발표 및 토론 내용을 수록함
시흥문화 제13호에는 제 17차 정기총회, 지역영예교사사업, 향토사대중호사업, 제 19회 연성문화제, 시흥단오제, 군자봉성황제 및 유가행렬 등의 화보, 시흥단오제와 연성문화제 학생 미술공모전, 계룡산 산행기, 서산 마애삼존불, 태안 마애삼존불, 경주 양동마을 문화탐방 등을 수록함
자연마을 단위의 구술조사와 자료 수집은 어디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았던 주민들의 일상과 생활에 관한 이야기이며 별로 특별할 것이 없는 빠르게 변해가는 자연마을의 인문환경 및 자연환경에 대한 기억을 붙들어 두고 이를 통해 지역단위 공간의 과거와 현재를 재조명하고 마을 공동체의 가치와 의미를 후세들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수로된 자연마을 조사보고서임
본 서는 애국지사 윤동욱의 생애와 시흥지역의 3.1운동, 시흥의 교육자 최긍렬 선생의 정신 유산 고찰, 왜 우리는 지금 제정구 선생의 삶을 다시 돌아봐야 하는가? 등의 1부 시흥의 인물과 정신문화와 군자봉성황제의 오늘, 새우개 도당제의 특징과 사회문화적 배경 등의 2부 시흥의 무형문와 유산에 대한 제2차 시흥지역문화 세미나 내용을 수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