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그룹홈 운영 실태 파악하고, 이에 기초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정책적 제언은 경기도 아동공동생활가정 사업의 개선방안으로서 그리고 '경기도 아동공동생활가정 지원에 관한 조례'개정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도록 함
본 연구는 경기도내 장애 아동을 보육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 운영 실태와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아울러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 아동 부모의 보육서비스 이용 실태와 요구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장애 아동 자신과 가정의 복지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경기도 장애아 보육지원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본 연구는 경기도 다문화가족 현황을 비롯하여 우리사회 다문화 추진체계 및 내용을 검토하고,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중복성이나 다문화가족의 중복적 사업참여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상의 자료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중복방지 및 효율적인 추진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 및 통계청 자료, 그리고 중앙정부 및 경기도, 시군의 다문화 관련 통계자료 및 사업내용 등을 수집하였고, 경기도 수원, 안산, 여주 지역에서 다문화 가족 지원사업 내용 및 기관 종사자의 다문화정책 평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질문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44개 기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함
경기도 내 36개 여성인력개발기관과 여성인력개발기관에서 직업준비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20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경기도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업준비 동아리 운영 실태와 참여자의 동아리 참여 결정요인, 정책 요구들을 분석하고,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최소한의 경험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공동체 사례 분석과 전문가 간담회 등을 바탕으로 경기도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입직지원 모델을 개발함
건설일용직 및 파출, 간병 분야 여성일용직은 취약근로계층으로 고용불안과 생활불안 이 가중되고 있으나 각종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고 별도의 행정적 지원체계도 미흡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도내 일용직근로자 및 (민간)고용서비스체계에 대한 실태조사에 기초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