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유역에 환경기초시설 확충, 폐수종말처리시설 신설등으로 신천의 수질(BOD)은 크게 개선되었으니 신천 유역에 다량 분포한 염색산업의 폐수처리수로 인한 COD, 색도의 증가 및 하천 유지 용수량의 부족, 비점오염원의 증가 등으로 신천유역의 물순환 체계를 고려한 종합적인 수질개선대책 수립이 요구되어 실시한 종합대책임
본 과업에서는 팔당호 녹조발생 원인 파악이 가능한 차원 수질예측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역 환경여건 변화에 따른 녹조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사전 • 예방적 관리대책을 추진하고, 녹조 대량 발생 시에는 최단시간 내에 제어할 수 있는 최적제어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녹조발생으로 인한 수도권민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함
팔당유역 7개 시군(용인,이천,여주,광주,남양주,양평,가평)의 하수도 보급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팔당유역 특성에 적합한 합리적인 하수도 보급률 향상방안을 수립하고 제시하고자 팔당지역 하수도 보급률 현황자료를 취합하고 조사 및 현황도면을 작성하려는 목적의 연구보고서임
하수도법과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로 이원화되어 관련시설이 중복 설치되거나 연계체계가 미흡하여 두 법률을 하수도법으로 통합하여 비효율성을 개선하는 내용으로 개정시행됨에 따라 하수도업무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적정한 공공하수도 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되도록 하며 업무처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공하수도시설 설치사업 업무지침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