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건 중 1-10
여주 우회도로 개설구간내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의 결과보고서로 자연 지리적 환경, 고고학적 환경, 역사적 배경, 유적현상 및 조사방법, 교리와 월송리에서의 통일신라시대, 조선시대의 시기별 조사내용과 통일신라시대와 조선시대의 고찰을 수록함
가평 대성리유적 본문2는 경춘선복선전철 사업구간(제4공구)내 선로 복선화 사업에 따른 가평 대성리유적의 발굴조사 보고서로 본문1에 이어 원삼국시대의 수혈 · 굴립주 · 구상유무, 석실묘, 조선시대 주거지와 구들유구, 지표패집유물을 수록함
본 보고서는 경기문화재단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에서 유적정비와 관련하여 학술조사를 목적으로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한‘광주 남한산성 남옹성(제2·3남옹성)유적에 대한 학술조사 보고서임
본 보고서는 경기도 기념물 제 222호로 지정된‘가평 잠곡서원지’에 대한 시굴 및 학술조사를 실시하고 자연 · 지리적 환경, 고고 · 역사적 환경, 역사적 배경, 제향인물, 잠곡서원의 건립과 운영, 잠곡서원의 위치 추정, 지표조사 등의 내용을 수록함
본 보고서는 시흥 능곡 주변도로 건설공사 문화재 시·발굴조사 군자동지점과 광석동지점에 대한 유적의 위치 및 자연지리적 환경, 고고학적 환경, 역사적 배경, 조사경과 및 방법, 군자동유적, 광석동지점의 조사내용을 수록함
수원시 관내(화성분천~송산) 국도대체우회도로간 내에서 조사된 하수문지 및 동쪽.남쪽 제방에 대한 유적 시.발굴조사 보고서로 자연 · 지리적 환경, 고고 · 역사적 배경, 조사방법과 층위, 발굴조사지역, 시굴조사지역의 조사내용 등을 수록함
북한산성 내에 조성된 와의 임시피난처로 숙종 38년(1712) 8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이듬해 5월에 완공된 행궁으로, 영조 21년(1745)에 간행된 '북한지'의 기록을 보면 행궁의 규모는 115칸에 달함며, 창건 후에도 여러 차례 중수가 이루어 진것을 알 수 있는 고양 북한행궁지 1차 발굴조사 중간보고서임
경기도시공사에서 시행한 안성 공도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유적의 시굴조사와 발굴조사 보고서로 자연환경과 고고역사, 유적의 지형 및 구분, 각 지점 지형 및 층위, 1부터 6지점까지 지점별 토광묘, 주거지 등 조사내용과 고찰을 수록함
가평 대성리유적 본문1은 경춘선복선전철 사업구간(제4공구)내 선로 복선화 사업에 따른 가평 대성리유적의 발굴조사 보고서로 유적의 지형개관, 고고학적 환경, 역사적 배경, 조사경과 및 방법,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 수혈 · 경장유구, 원삼국시대의 주거지를 수록함
김포 양곡택지개발사업에 따른 김포 양곡유적의 발굴조사 보고서로,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학술용역을 체결하여 실시한 조사로 유적의 지형 및 고고학적 환경, 조사경과, 시굴조사와 발국조사 조사내용 등을 수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