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책자는 <2018 백남준아트센터 교육 프로그램:종이 없는 사회를 위한 학교>로 종이없는 사회를 위한 학교, 2018 교육사업 개요, 2018 교육사업 현황, 일반인 대상 프로그램, 학생단체 대상 프로그램, 백남준 창작소, 방학프로그램, 특별프로그램, 자원봉사자 프로그램, 2018 백남준아트센터 교육 프로그램 간담회, 참여후기, 에필로그 등의 내용이 기록됨
본 자료는 NJP 리더 제8호 국제심포지엄 <미래미술관:공공에서 공유로>는 백남준아트센터의 학술프로그램인 '백남준의 선물'의 열번째 행사로 백남준 아트센터의 10년을 돌아보며 앞으로 벌어질 새로운 존재론과 소통방식으로서의 '공유지 모델'에 대한 실험을 시작하는 자리로 총 2부로 나누어 진행된 행사 등의 내용이 수록됨
본 자료는 <#메타뮤지엄 #프로젝트 자료집>으로 백남준아트센터의 10주년을 기념하여 퍼블릭 프로젝트 일환으로 기획되어졌으며, 공유지 실험, 공동체 실험, 관점 실험으로 구성되어 미래형 미술관으로 나아가기 위한 실험의 장으로 이번 프로젝트에는 예술관련전문가와 비전문가, 다양한 세대들이 참여, 서로 공유하며 새로운 공유지의 가능성 등의 내용 등이 실림
본 책자는 <백남준아트센터 소개>로 백남준은 생전에 그의 이름을 딴 이 아트센터를 '백남준이 오래 사는 집'으로 건축, MI소개, 소장품, 전시, 퍼포먼스&이벤트, 학술&출판, 교육,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 백남준 아트센터 아카이브, 백남준 라이브러리, 관람안내, 시설안내 등의 내용이 기록됨
Opened to the public in 2008,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aspires to revive the generosity criticality and interdisciplinary nature characteristic of both Nam June Paik's work and life.
본 책자 <슈퍼전파-미디어바이러스>전은 세계 각국 11팀의 아티스트가 설치, 영상,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한 것으로 11개의 미디어 그리고 그 이야기들, 간섭하는 미디어, 침범하는 예술: 미디어, 주체, 예술, 아티스트 토크, 작가약력 등의 내용을 수록함
본 책자는 백남준아트센터 개관 10주년 기념 전시<#예술 #공유지 #백남준>로 백남준아트센터의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며 미래를 제시하고, 미술관이 담당해왔던 사회, 문화적 기능과 역할에서 한발 더 나아가 21세기, 미래 미술관의 새로운 공공적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등의 내용 등이 기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