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부터의 음악은 앞으로 과제로 삼고, 다만 경기신민요를 이번 항목에서 연구하였으며, 지리음악학으로서 백두대간에 의한음악구획을 시도하였지만 근대 행정구획개편과 서울이 특별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 주변의 경기도가 대거 편입되어 음악지리학의 접근은 더 세심한 관찰과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경기농악의 경우는 두레굿이 마을굿과 함께한 형태이므로 크게 구분한 지역마다 농악형태가 다르지만, 앞으로 지역농악의 정체성을위하여 더 세심한 연구가 대두됨
다문화인이 전통문화 예술교육을 통해 한국전통문화를 경험하고 프로단체인 팔산대와 함께 무대에 서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다문화인들은 힌국문화의 역사가 담겨 있는 한국전통예술에 대해 배우며, 가장 한국적인 것. 한국의 속살을 맛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에 본 사업의 목표가 있음
이 책은 매년 경기도 31개 시, 군 문화원의 추천으로 위촉된 연구위원들이 1년간 경기도 역사문화를 조사, 발굴함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역사적 사실뿐 아니라 신앙, 생활사 등을 연구한 결과물로서,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에게 각 지역의 역사적 기초자료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됨
지역문화에 대한 비전 제시 및 지역 문화활동가로서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 경기도내 문화원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군문화원 직급별,연차별 이땅에서 문화원으로 살아남기, 지방문화원의 역할과 사명 _문화원 조직이해 및 재원구조성, 사업성과 관리와 방향찾기의 방법론 _단위 프로젝트 사업의 방향도출과 고민해결의 실마리 찾기 등의 내용을 수록함
왕실을 중심으로 한 역사뿐만 아니라 인물,신앙,생활사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포함하여 급격한 현대화로 인해 과거 사람들의 생활상과 역사를 기록하고 경기향토사학을 통해 역사와 문화에 올바른 이해와 보존을 통해 애향심을 고취하고, 나아가 경기도민의 화합과 단결에 기여하고자 함
이천에서 지내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사람과 사람사이를 연결하고 돈독하게 해주는 사물과 사람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명하는 책으로 순정, 여정, 진정으로 나누어 삼대째 농부의 삶, 양정학교 통학버스를 아시나요, 일자리 따라 오게 된 이천, 여기서 살거다 등의 유물전관련내용을 수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