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부터의 음악은 앞으로 과제로 삼고, 다만 경기신민요를 이번 항목에서 연구하였으며, 지리음악학으로서 백두대간에 의한음악구획을 시도하였지만 근대 행정구획개편과 서울이 특별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 주변의 경기도가 대거 편입되어 음악지리학의 접근은 더 세심한 관찰과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경기농악의 경우는 두레굿이 마을굿과 함께한 형태이므로 크게 구분한 지역마다 농악형태가 다르지만, 앞으로 지역농악의 정체성을위하여 더 세심한 연구가 대두됨
이 책은 매년 경기도 31개 시, 군 문화원의 추천으로 위촉된 연구위원들이 1년간 경기도 역사문화를 조사, 발굴함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역사적 사실뿐 아니라 신앙, 생활사 등을 연구한 결과물로서,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에게 각 지역의 역사적 기초자료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됨
다문화인이 전통문화 예술교육을 통해 한국전통문화를 경험하고 프로단체인 팔산대와 함께 무대에 서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다문화인들은 힌국문화의 역사가 담겨 있는 한국전통예술에 대해 배우며, 가장 한국적인 것. 한국의 속살을 맛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에 본 사업의 목표가 있음
왕실을 중심으로 한 역사뿐만 아니라 인물,신앙,생활사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포함하여 급격한 현대화로 인해 과거 사람들의 생활상과 역사를 기록하고 경기향토사학을 통해 역사와 문화에 올바른 이해와 보존을 통해 애향심을 고취하고, 나아가 경기도민의 화합과 단결에 기여하고자 함
경기향토사학은 경기도 31개 시 • 군문화원으로부터 추천된 지방문화원 향토문화연구위원으로 구성된 〈경기향토문화연구소〉에서 매년 각 지역의 향토역사문화를 연구한 자료를 집적한 연구집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된 자료를 바탕으로 2차 가공된 고급데이터 확보를 위한 아카이빙과 맞물려, 실제 실현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사업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도록 문화원 차원의 기획이 결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