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9년 7월부터 시작된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 천원의식의 전말을 보여주기 위해 도설, 좌목, 시일, 예의, 재용, 상전, 잡조, 삼물조, 조성조, 노야조, 부석조 등으로 나누어 조선 왕실의 무덤이 어떠한 방식으로 조성되고 무덤의 위치선정 기준, 무덤의 크키, 임시관청의 크기, 조성비용의 조달 방법 등의 구체적인 사실을 수록함
경기도의 독자성을 수립하기 위해 경기도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기문화의 재조명과 이를 통한 경기역사의 정체성 구현 및 도민의 애향의식 제고를 위해 설립하였으며 박물관의 연구노트 및 자료소개와 박물관의 전시에 관한 연구조사 및 학술활동, 소장품 관리, 행사 및 사회교육, 박물관의 조직도와 운영 일지 등을 수록함
경기도의 독자성을 수립하기 위해 경기도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기문화의 재조명과 이를 통한 경기역사의 정체성 구현 및 도민의 애향의식 제고를 위해 설립하였으며 박물관의 연구노트 및 자료소개와 박물관의 전시에 관한 연구조사 및 학술활동, 소장품 관리, 행사 및 사회교육, 박물관의 조직도와 운영 일지 등을 수록함
조선전기 왕릉을 제외한 일반분묘의 석물을 미술사적 관점에서 주제별로 선정하여 시대순으로 재배열해 서술하였으며 석물의 선정 기준인 묘역의 원형이 보존되어 후대의 변형이 적고, 이장이 적으며, 묘비 연대와묘주의 몰년이 격차가 크지 않고, 묘주 몰년과 석물의 조성 당시 양식이 일치하는 주요대상을 선정하여 석물들을 수록함
경기도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도민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술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초상화 양식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학계의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2004년도에 박물관에서 기증 받은 청송심씨 가문의 고문서를 탕초하고 번역하여 수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