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건 중 1-5
환경보전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기며 환경보전을 위하여 우리가 해야하는 일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경기도의 환경행정 현황, 환경정책 기능의 강화, 대기환경의 개선, 환경개선을 위한 실천사항, 환경학과 설치대학 현황, 환경보전비용 확충 등을 수록함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도내에서 행한 환경행정의 현황 및 정책방향, 환경정책 기능의 강화를 위한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설립 및 운영, 환경보전비용 확충을 위한 제도와 주요 환경규제제도, 환경보전 조사연구에 대한 내용을 수록함
본 환경백서는 괄당호, 시화호, 평택호 등의 수질보전대책, 도시내 대기질개선, 쓰레기 매립지의 확보, 토양환경보전 등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과 해결방안에 대해 수록함
1997년 발표된 21세기경기도 환경정책계획과 '경기환경비전 21'의 실현을 위한 '중기종합집행계획' 이 급변하는 환경여건과 정책을 제때에 반영하지 못하여 재정비가 시급하나 경기환경비전21을 근본적으로 수정 · 보완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므로, 우선 최근의 환경정책 등 환경여건의 변화를 '중기종합계획'에 반영 수정 · 보완함으로써 계획의 실효성을 확보 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