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의 근현대사를 총정리한 <광명사람들의 삶과 놀이, 문화>는 광명사람들의 일생의례, 광명사람들의 민간신앙, 광명사람들의 놀이와 세시풍속, 광명사람들의 의식주, 광명사람들의 생활문화에 대한 기록·보존·활용, 구술로 본 사람들의 삶과 생활문화, 지역문화자원 교육활용사례로 구성되어 있음
본 프로젝트는 <광명바로알기프로젝트 '광명학'>은 총 6강으로 이뤄졌으며, 1강은 오리엔테이션과 기록으로 보는 광명의 변천, 2강으로 오리 이원익의 사상과 정신, 3강은 광명의 자연마을과 옛이야기, 4강은 광명의 역사인물들, 5강은 광명동굴(가학광산)이야기, 6강은 지역답사 강의에 다뤄진 지역을 중심으로 등의 내용이 기록됨
본 보고서는 <2018 광명문화원 사업총괄보고서>로서 문화원 2018년도 사업목표는 일상이 예술이 되는 생활문화도시로 지역학 및 광명학의 기반 안정화 및 확산, 다양한 향토문화 및 인물콘텐츠 개발 및 보급, 문화예술의 일상화로 행복한 삶의 품격 제고, 각종 사업 및 행사에 기관 단체의 참여보장, 광명의 민속놀이 책자 발간사업 추진, 경기도민속예술제 관련 단체 지속적 지원 등의 내용이 기록됨
"광명문화저널(30호)에는 지방문화원의 역사적 변천을 통해 본 지역 문화의 가치 창출 방안, '나의 기록'이 광명의 기억으로, <2019 지도와 사진으로 본 광명사람들의 삶/학온동 편>발간의 의미와 성과, 광명지역의 31운동 전개과정과 의의, 광명문화원 기획 31운동 100주년 기념공연 '노온사리의 빛' 연출가 강제권 감독을 만나다 등의 내용이 기록됨
"
본 보고서는 테크노밸리 및 구름산 "재개발지역 마을조사" 2차보고서로서 제1장 일생의례로 장례와 제례, 제2장 민간신앙으로 노리실, 공세동과 뒷골, 장터말, 설월리, 가리대, 제3장으로 세시풍속으로 변화해 온 세시풍속의 현재와 과거, 제4장 의생활, 제5장 옛 지명을 통해서 본 마을의 특성, 제6장 구술로 들어본 지역민의 삶과 문화 등의 내용이 기록됨
본 자료는 2019 광명마을기록가 활동이야기로 광명 마을기록가 양성 교육을 통해 광명시 지역과 광명시민의 삶과 기억을 기록화함으로 기록문화 역량을 강화하며 광명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속적으로 기록화하여 광명에 대한 과거와 오늘의 기록을 기록으로 남겨 미래에 활용하고, 양성교육으로는 광명 마을기록가 양성교육 목적과 활동, 설월리 마을 기록하기, 나의 기록으로 나를 기억하기, 마을기록가 외부활동 내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