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북한강 철교 = 北漢江鐵橋

일제는 자원수탈과 대륙침략을 목적으로 경부선에 이어 제2의 종관縱貫철도인 중앙선 부설을 추진했다. 중앙선의 주요 교량 중 하나인 북한강철교는 일명 ‘구 양수철교’로 북한강을 가로질러 경기도 남양주시와 양평군을 이어준다. 이 철교는 1937년 봄에 착공하여 1939년 4월 1일 경경선京慶線(중앙선의 당시 명칭)의 북부선 일부인 동경성東京城(현 청량리)-양평 구간 52.5km를 개통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경경북부선의 노선은 청량리역-망우역(간이역)-도농역-덕소역(간이역)-팔당역(간이역)-양수역-국수역(간이역)-양평역이었다. 북한강철교의 길이는 약 500m이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기사 오다小田가 설계했다. “독일 라인강에 걸친 유명한 웨젤빗데 철교를 모방하여 설계한 것으로 동양에서는 처음 보게 되는 능형(마름모꼴) 철교이며 외관미와 견실미를 겸비한 근대적 철교”라는 평을 받았다. 북한강철교를 부설하던 중에 1938년 10월 25일 가설공사장의 비계목이 갑자기 무너져 5명의 사망자를 포함한 15명의 사상자를 내기도 했다. 한국전쟁 초기 두 차례 파괴되었으나 1952년 2월 완전히 복구하였다. 2008년 중앙선이 복선전철화하면서 옛 철교 바로 옆에 운길산역과 양수역을 잇는 새 ‘양수철교’가 생겼으며 이로 인해 능내역은 문을 닫게 되었다. 현재 옛 철교는 남한강 자전거 전용도로의 일부로 활용하고 있다.
  • 파일명 210061504_IT0050767_20240422_DU_001.jpg
  • 파일 형식 jpg
  • 파일 크기 0.553MB

 

연관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