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접근 대기 중입니다.
현재 접속 사용자가 많아 대기중이며,
잠시만 기다리시면 자동 접속됩니다.
서비스 접속이 차단 되었습니다.
현재 접속하신 아이피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서비스 접속이 불가합니다.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콘텐츠
콘텐츠
이달의 콘텐츠
기획 콘텐츠
전시
컬렉션
컬렉션
도서 시리즈
아카이브 컬렉션
주제별 컬렉션
지역
지역
지도
지역명
타임라인
타임라인
시대
연대
이용안내
이용안내
아카이브소개
검색안내
저작권안내
함께하는 기관
사이트맵
콘텐츠
이달의 콘텐츠
기획 콘텐츠
전시
컬렉션
도서 시리즈
아카이브 컬렉션
주제별 컬렉션
지역
지도
지역명
타임라인
시대
연대
이용안내
아카이브소개
검색안내
저작권안내
전체
제목
목차
생산자
설명
상세검색
홈
콘텐츠
전시
경기도의 옛지도
카카오톡
페이스북
공유하기
타이틀자리입니다.
내용자리입니다.
(74)
광주지도 1(전체)
지도자료
양근군지도 1(전체)
지도자료
조선팔도지도 8폭 병풍 ; 경기도
조선 팔도(八道)를 그린 지도로 꾸민 병풍. 각 도를 8폭으로 나누어 그린 8폭 병풍(세로 166.5, 가로 607.6). 채색사본(彩色寫本). 1폭에는 함경북도와 백리척(百里尺)이 그려져 있으며, 여러 가지 글귀들이 적혀 있음. 2폭에는 전라도와 제주도, 3폭에는 경상도와 대마도, 4폭에는 충청도와 경기도가 함께 그려져 있으며, 5폭에는 강원도와 울릉도, 6폭에는 황해도, 7폭에는 평안도, 8폭에는 함경남도가 그려져 있음. 모든 지도의 상·하단에는 서울[京]과 각 지역 간의 거리를 표시해 놓은 '距京道里'가 적혀 있음. 강과 바다는 파란색, 산맥은 연두색으로 표현되었으며, 수륙 교통로를 붉은색 선으로 표시하였음.
한국국사도6
조선 초기 행정구역인 8도가 인쇄된 지도. 족자형. 1969년 3월 15일 세계문화사 발행. 조선 세종조(世宗朝)때의 8도(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와 고려 말부터 조선 세종조까지의 경계 변화, 주요 관아의 위치 등이 인쇄됨. 뒷면 제첨에 '(표준) 한국국사도6 조선 초기의 8도(세종조)', 발행 날짜 등이 인쇄됨.
[수원의 옛지도 ; 경기도 지도]
수원시 에서 수집된 수원의 옛지도 : 경기도 지도 자료이다
조선시대 전기 경기도지도 『 동람도』
『 동람도』는 『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부도(附圖)로 인쇄본 지도로는 가장 오래된 지도이다. 지지(地誌)를 보완하는 부도로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표현하고 있는 내용들은 매우 소략하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전국적 지배체제의 확립 이후 왕권의 위엄과 유교적 지배원리를 강화하려는 목적이 우세하여 시문, 인물, 예속, 고적 등과 같은 항목이 강화되었다. 『 동람도』에는 이러한 지지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현존하는 경기도 도지를 보면 상당수가 『 동람도』의 계통을 따르고 있다
수원 고지도
1767년 제작된 조선지도(서울대 규장각 소장)에 있는 수원 부분. <수원의 길이름> 9p에서 발췌함
수원 행정구역 지도
<국역 화성성역의궤 상 [國譯 華城城役儀軌 上]> 18p에서 발췌함
진위현지도 1(전체)
지도자료
고지도 ; 광주부1
고지도 자료
고지도 ; 김포군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양근군
고지도 자료
조선시대 한성 및 경기지역 도로망
대동여지도
[부천의 지도]
부천의 지도를 다룸. <[부천시사 5 : 자료로 보는 부천] 富川市史 5 : 자료로 보는 부천>에 수록
경기도광주중앙관요 ; 지도
경기도박물관에서 수집된 경기도 광주 중요관요 : 지도 자료이다
고려관내해양등도후위양광서해도도 『동여비고』
고려시대의 경기도와 황해도 일원의 지도이다. 왕경인 개성과 한양에 있는 남경이 노란 색 띠로 부각되어 있다. 역사지도이기 때문에 산지의 표현이 간략하게 되어 있다. 하천에는 징파도, 중랑포 등의 포구 이름도 기재되어 있다. 군현명 옆에는 군현의 위계를 부기하였다. 무엇보다 산성의 표시가 자세한데, 산 정상에 띠를 둘러 표시하였고 강가의 성인 경우 원의 형태로 표시하였다. 특히 임진강변에 성이 밀집되어 있는데, 이 지역이 북쪽에서 쳐들어오는 외적을 방어하는 중요한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기좌도, 경기우도, 예관내도 등의 구역표시도 보인다
대동여지도13 4
지도자료
대동여지도14 5
지도자료
고지도 ; 대동여지도14 4
고지도 자료
고지도 ; 교하군
고지도 자료
대동여지도 내 안성
문화재 자료
강화 교동도 지도
문화재 자료
[사진으로 보는 동두천 ; 양주목지도 ; 1872]
동두천시 에서 수집된 사진으로 보는 동두천 : 양주목지도 : 1872 자료이다
경기도 『천하총도』
원형의 천하도와 중국, 일본, 유구, 조선의 지도로 이루어진 필사본 여지도첩에 수록되어 있다. 함경도의 후주부가 설치된 것으로 보아 19세기 중엽을 전후하여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산지는 전통적인 연맥 방식이 아닌 독립된 산으로 표현하였다. 서울인 경도는 도성의 표시와 함께 크게 강조되어 그려졌다. 북악과 삼각산은 위치가 다소 잘못 표현되었다. 고을 이름의 옆에는 좌.우도의 구분, 서울로부터의 일정, 부.목.군.현에 해당하는 고을의 위계가 표기되어 있다. 교통로도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각 군현간의 거리도 주기되어 있다. 해안의 진보, 내륙의 역원 등은 직사각형의 기호 내부에 기재되어 있다
수원부지도
1872년 제작된 지도(서울대 규장각 소장)로 대표적인 수원 고지도. <수원의 길이름> 12p에서 발췌함
고지도 ; 남양부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용인현
고지도 자료
고지도 ; 파주목
고지도 자료
고지도 ; 가평군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연천현
고지도 자료
조선팔도지도병풍 ; 경기도
조선팔도를 표현한 지도. 목판본. 10폭 병풍(세로 141.5, 가로 504). 경기도·전라도·경상도·충청도·황해도·평안도·함경도·강원도 지도, 중국도·천하도로 구성됨. 팔도지도에는 지명과 지방관의 등급, 서울에서 걸리는 시간이 표기됨. 하단에는 진(鎭)·보(堡) 등의 수(數)와 위치, 해당지역의 지리적·역사적 특징이 표기됨. 각 폭은 두 개의 목판으로 인쇄되어져 상하 분리선이 보임.
강화도 부근 고지도
문화재 자료
경기도삼십칠관 『동국지도』
경기도는 삼십팔관인데 지도의 제목이 삼실칠관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동람도』양식으로 그려진 필사본 도지도로 바다에는 물결무늬까지 그려 넣었다. 좌도와 우도를 색깔로 구분하였는데 경계가 한강 수로로 되어 있어서 동서가 아닌 남북으로 나눠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지는 『동람도』에서처럼 진산을 위주로 한 독립된 산의 형태로 그려졌다. 도성이 있는 서울을 크게 부각시켜 그렸고 과거 도성이었던 송도와 강도도 성곽의 모습으로 강조하였다. 황선으로 도로망을 표시하였고, 찰방역은 사각형으로 표현했다. 강화도에 있는 진보인 제물보, 철곶진 등은 강화도에 표시하지 않고 흡사 섬처럼 바다에 그려 놓은 오류도 보인다. 지도의 뒷면에는 서울에서 각 군현까지의 일정과 거리, 고을의 별칭 등을 수록하였다
경기도의 근현대지도
경기도의 1910년대, 1970년, 2000년대 지형도와 최신위성사진, 현대지도에 대동여지도를 덧입혀 조선후기에서 현대까지 변화상을 한번에 볼 수 있게 기록함
고지도 ; 여주목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지평현
고지도 자료
고지도 ; 마전군
고지도 자료
동국지도 ; 경기도
우리나라 최초로 축척이 표시된 지도. 채색사본(彩色寫本). 실학자 정상기(鄭尙驥, 1678~1752)가 제작한 것을 모사(模寫)한 것임. 동국지도는 전국도(全國圖)와 도별도(道別圖) 등 9폭의 지도첩(地圖帖)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경기도와 충청도를 함께 그려 놓은 것임. 수륙(水陸) 교통로를 표시하고 봉수(烽燧)와 역보(驛堡)를 표시하였음. 지도첩(地圖帖)을 펼쳐 놓은 것으로, 접힌 흔적이 있음
[조선팔도지도 ; 경기도]
1장의 천하도(天下圖)는 원형으로 중국이 가장 중심에 그려져 있다. 2장의 중국도(中國圖)에는 각 성(省)에서 북경까지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다. 이외 조선 8도의 지도에는 관(官)을 중심으로 표시되어 있고, 관과 관 사이에는 거리가 표시되어 있다. 경기도(京畿道)는 38관, 충청도(忠淸道)는 52관, 경상도(慶尙道)는 72관, 전라도(全羅道)는 57관, 강원도(江原道)는 26관, 황해도(黃海道)는 24관, 평안도(平安道)는 42관, 함경도(咸慶道)는 24관을 중심으로 그려졌으며 산들이 표시되어 있다
지도 ; 양주군
서울시 성북구 · 의정부시 · 경기도 양주군 일부에 관한 지도. 서울과 경기도 경계선은 붉은색으로 표시됨. 도로건설예정지 구간은 붉은색과 초록색으로 표기됨
[파주시 옛 지도 자료]
파주시지 제6권에 수록되어 있음. 파주시와 관련된 각종 문헌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자료집으로 연대기자료와 금석문 등을 참고하여 만든 결과물로 파주시의 옛 지도 자료를 다룸
경기도 고양시 지도
문화재 자료
경기지도집성 1 경기도의 옛지도
경기문화재단 에서 수집된 경기지도집성 1 : 경기도의 옛지도 자료이다
백제강역북변지도 『동여비고』
백제가 한강 유역권으로 진출하였을 때의 강역을 그린 지도이다. 백제의 북방 진출은 근초고왕(재위 346~375) 시절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는데, 지도에는 지금의 한양으로 근초고왕이 도읍을 옮겼다고 표시되어 있다. 지금의 광주는 온조(재위 BC18~AD28)가 도읍했던 곳이고, 지금의 인천인 미추홀은 비류가 도읍했던 곳으로 표시되어 있다. 온조가 처음으로 도읍했던 위례성은 지금의 직산에 표시되어 있다. 지금의 야천이 제차파의, 지금의 금천이 잉벌노, 안성은 내혜홀 등 고구려의 지명으로 표기되어 있다. 경기 이남 지역은 백제의 강역이어서 백제의 지명으로 표기되어 있다
여주목지도 1(전체)
지도자료
고지도 ; 대동여지도12 4
고지도 자료
동람도 ; 경기도
(설명)조선 팔도를 표현한 지도의 묶음. 목판본(木板本). 지도 8장. 판심제는 동람도(東覽圖). 강원도,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충청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순으로 수록됨. 주요한 산·하천·섬이 표기되어 있으며, 지명은 네모 안에 표기됨. 동해의 섬으로 울릉도와, 우산도(于山島)로 표기된 독도가 표시되어 있으나, 그 위치는 반대로 되어 있음. 지도의 네 방향으로 동서남북이 표기됨. 각 지도의 판심제 형태와 글자 모양이 모두 다름
도성대지도
문화재 자료
강화 옛 지도
강화를 비롯한 경기 및 전국지도, 연혁지도, 근대지도에 이르기까지 강화와 관련된 모든 지도 수록한 지도책.
[수원의 옛지도 ; 특수지도]
수원시 에서 수집된 수원의 옛지도 : 특수지도 자료이다
고지도 ; 음죽현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양성현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장단부
고지도 자료
고지도 ; 포천현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양주목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적성현
고지도 자료
고지도 ; 대동여지도12 3
고지도 자료
해동지도 개경과 주변지역
문화재 자료
수원(水原)의 옛지도(地圖)
흩어져있던 수원의 옛지도를 모아 편찬 수록
[의왕시사 자료 ; 지도]
의왕시 에서 수집된 의왕시사 자료 : 지도 자료이다
[사진으로 보는 동두천 ; 대동여지도 ; 1861]
동두천시 에서 수집된 사진으로 보는 동두천 : 대동여지도 : 1861 자료이다
경기도좌우주군총도 『동여비고』
조선시대 경기도의 좌도와 우도에 속한 군현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간략하게 그린 지도이다. 가운데는 서울인 한성을 사각형의 모습으로 부각시켜 표시하였다. 고려의 도읍이었던 개성부도 직사각형으로 부각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동람도』의 지도보다 더 소략하다. 산지는 일부 대표적인 것만 그려져 있고, 수계는 본류와 지류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다. 좌도와 우도의 구분 경계선을 흑선으로 그려 넣었고, 군현명 옆에는 좌도와 우도의 구분이 부기되어 있다
수원부의 옛지도
수원부 관할구역을 모두 나타내고 있으며 읍성도 보임. <국역 화성성역의궤 상 [國譯 華城城役儀軌 上]> 16p에서 발췌함
고지도 ; 수원부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안성군
고지도 자료
고지도 ; 죽산부
고지도 자료
고지도 ; 과천현1
고지도 자료
고지도 ; 고양군1
고지도 자료
경기도 가평군 지도
문화재 자료
1945 광복과 2007 경기북부
경기북부는 민족적 비극과 고통을 안겨준 38선이 생기면서 개성군, 장단군 등을 잃고, 한강주변지역이 서울특별시로 편입되는 등 변화를 겪어 경기도는 이러한 변화를 감안해 경기북부지역의 행정구역과 주요 도로망 등을 8.15광복과 2007년 현재를 일목요연하게 비교 정리한 행정지도를 발간함
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여지도》 6책에 수록된 경기도 전도 1장과 소속 고을의 그림식 지도 38장의 이미지를 원색으로 수록하고 해설함. 순우리말 지명을 알 수 있는 지명찾아보기, 경기도 고을의 역사와 중심도시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논고를 담고 있음.
지도로 본 판교
성남시 에서 수집된 지도로 본 판교 자료이다
지도로 보는 안양
안양시 에서 수집된 지도로 보는 안양 자료이다
지도로 돌아보는 마을 구경
지도를 통해 용강리의 개략적인 모습과 지명을 설명하는 결과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