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식



Q 언제부터 파주에 거주하셨나요?


2006년 11월 달에 들어왔지요.
근무부터 하고 이주를 했습니다.

Q 고향이 갖는 의미는?

미우나 고우나 저 같은 경우는 ‘수구초심(首丘初心)’ 이 말이 맞는 것 같아요.
‘결국은 돌아가야 되는 거 아닌가.’ 이런 생각을 좀 가져요.
파주가 좀 더 애착이 가는 거 같아요.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이기도 하고 앞으로 계속 있어야 되는 곳이기도 하고 해서.
그리고 또 여기 아는 사람들도 많이 사귀고 하다 보니까 그런 거는 좀 있는 거 같아요.

Q 지역 분들과 공동체 활동을 하신다고 들었는데..

저처럼 이 지역에 사는, 주로 이 지역에 직장에 있는 사람, 이런 사람들이 아무래도 좀 주축이 될 수밖에 없고.
처음에는 ‘세파모’라고 해서 ‘세월호 파주 모임’ 이런 식으로 만들었다가 그다음에는 파주 참여연대로 연결되고.
같이 또 동호회 같은 모임, 자전거 모임 같은 것도 확대되면서 자연스럽게 지금까지 온 거 같아요.
이렇게 의도적으로 뭘 하게 되면 오래 못 가는 거 같은데, 저희는 그런 식으로 해서 이렇게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것 같아요.
아주 잘되고 있습니다.
어떤 모임이든 간에 일주일에 몇 번씩 계속 보니까.
그리고 책방 같은 데서는 일주일에 두세 번은 꼭 책 읽고 와서 토론도 하고, 외부에서 초빙해서도 하고, 계속 그런 일들을 하고 있고.
‘디어(dear) 교하’라는 소식지도 만들고 있어요.

'책방 같은 데서는 일주일에 두세 번은 꼭 책 읽고 와서 토론도 하고, 외부에서 초빙해서도 하고,
‘디어(dear) 교하’라는 소식지도 만들고 있어요.'


Q 공동체 활동이 자녀분들에게도 영향을 주나요?

아이들끼리 모임을 하는 거는 없는 거 같은데, 자기들끼리 모여서 잘 놀아요.
요즘은 다 애들이 한두 명밖에 없잖아요.
여기 동네 같은 데는 집에서만 키우는 게 아니고, 자기네들끼리 막 어울려 다니면서 동네 뛰어다니고.
부모가 없더라도, 조그만 애가 와 있더라도 다 아니까.
다 케어가 되고, 같이 밥 먹여 주고 보내고. 그런 게 되더라고요.
애들끼리 모임은 글쎄.

Q 파주시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파주시민이라는 거를 느끼게끔 하려면 문화적인 거라든지, 아니면 그런 마을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여기에 ‘우리 마을이다.’라는 거를 느끼게 만들어 주는 그런 것들이 필요하거든요.
그런 거를 좀 파주시에서 좀 해 주면 좋겠는데, 좀 아쉽지요.
Blog Single